청소년 투표권, 오히려 정치 무관심의 해결책이다.
게시글 주소: https://wwww.orbi.kr/00011227050
저번주 자 이코노미스트에서는 선진국 청년들의 정치 무관심 현상에 대한 특별판을 내놓았습니다. 특별판은 총 3편의 칼럼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읽다보니 참정권 연령 인하가 정치적 무관심의 해답이라는 주장이 나온 것이 흥미로워 공유합니다. 이코노미스트지의 기사에서 드러난 바 참정권 연령 인하가 어떻게 정치적 무관심의 해답이 될 수 있는지를 설명드리려 합니다.
이코노미스트 지는 영국, 폴란드, 이스라엘 등 선진국에서 정치 무관심 현상이 얼마나 만연해있는지를 지적합니다. 영국, 폴란드의 청년 총선 투표율은 절반에 채 미치지 못했습니다. 투표율만이 문제였을까요? 아닙니다. 아래 표는 청년 유권자 1명 당 55세 이상 노년 유권자의 비율을 보여줍니다.네덜란드, 독일, 미국 등 흔히들 "정치 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의 유권자 편중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저출산이 지속된다면 영국, 이스라엘처럼 노인 유권자들이 청년 유권자들을 수로 압도해버리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겠습니다. 결과적으로 청년의 목소리는 더이상 영향력을 잃을 것이고, 이로 인한 정치적 무관심은 사회에 더더욱 만연할 것입니다.결과적으로 청년의 목소리는 더이상 영향력을 잃을 것이고, 이로 인한 정치적 무관심은 사회에 더더욱 만연할 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의 미디어 소비 양상은 청년의 정치적 무관심 현상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이제는 라디오 방송에서 틀어주는 셋리스트 대신 핸드폰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만 들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정당을 팔로우해 그 정당만의 뉴스를 받아볼 수 있기도 합니다. 이런 "취사선택"은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까지 바꾸었습니다. 정당 정책이 더이상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냥 언팔로우 하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더이상 그 정당을 지지할 이유도 없어지는 거죠. 이제는 사람이 정당에 충성하는 시대는 갔습니다. 정당이 유권자들의 변화에 발 맞추어 나가야 합니다. 하지만 정치 현실은 쉽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아직도 정당은 중앙당의 정책위원회가 모든 정책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게다가 투표 빼고는 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이 아직도 부족합니다. 관심사는 시시각각 변하는데, 투표는 몇 년에 한번 돌아오니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족은 더더욱 심해집니다. 결국 이는 정치 무관심으로 귀결됩니다.
이런 정치 무관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선거 참여를 의무화시키는 게 답일까요? 앞에서 보았듯, 몇 년에 한 번 돌아오는 선거로는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기엔 부족할 것입니다. 정치적 무관심의 해결책은 "내가 정치를 바꿔 나를 위한 정치가 이뤄지게 한다" 하는 느낌, 즉 정치적 효능감의 함양입니다. 이는 성장기의 시민교육과 다양한 정치적 경험을 통해 발전합니다.
실례로, 호주에서는 18세 이하 유권자의 투표율이 19~25세의 투표율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16세부터 투표가 가능한 스코틀랜드에서는 16~17세의 투표율이 75%로 18~24세의 투표율 평균 54%를 훨씬 상회한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는 선거 연령 인하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시민교육이 잘 이뤄진 결과이기도 합니다.
앞에서 보았듯, 선진국의 정치적 실험에서 "선거 연령 인하"는 정치적 성숙에 대한 보답이 아닌 정치적 성숙의 제반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야 3당은 오늘 2020년에 선거 연령을 인하하자는 합의를 했습니다. 당장 다음 대선에서 이뤄지지 않아 아쉬운 결과지만, 괄목할만한 변화입니다. 고령화가 가속되고, 저출산이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청년의 정치 참여는 이러한 사회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교육과정 내 시민교육의 강화를 통해 청년들의 정치적 성장이 사회 전체의 정치적 효능감 고양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합니다.
additional link: http://www.economist.com/news/leaders/21716030-young-voters-are-becoming-disillusioned-elections-catch-them-early-and-teach-them-value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필독] 입시 전문가들이 예상한 입시 유의점 6가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12월 9일 금요일 기다리고 기다리던 수학능력시험...
-
고12 분들 11모 기준으로 유사 고속 만들어봄. 45
안녕하세요☺️ 다양한 에듀테크 활동을 진행하는 Project ILLUSION입니다....
-
ㅈㄱㄴ
-
안녕하세요 독공팀 안진탁입니다. 사실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나이핑을 성공하는...
-
올해 서강대 정시분석 (서강대 쓰실분들 한번만 읽어주세요) 145
서강대 재학중이고 올해 입시를 동시에 하고있기에 정시 서강대를 생각하고 계신...
-
[오르비 강성식]강성식 소장과 함께하는 2023수능점수와 2022수능점수 비교 2
나의 점수로 갈 수 있는 최대한의 대학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탑미네르바 컨설팅...
-
안녕하세요. 학점 아닌 표점입니다. 오늘은 저번 글 문과 반영비와 작년 입결에 대해...
-
메디컬계열 표본분석 칼럼 3편 - 표본의 상대적 위치 6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의 종냥입니다. 이번에 제가 올릴 글은, 아마 이번 칼럼...
-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의 종냥입니다. 이번 칼럼은, 앞서 한 표본분석의 심화...
-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에서 메디컬 팀장을 맡고 있는, 종냥이라고 합니다. 오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충남대, 충북대, 강원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안녕하세요. 하제맑음 팀 컨설턴트 김다온입니다! 벌써 성적표를 받고 많은 이야기가...
-
23 메디컬 군 & 탐구 영향력과 22 입결을 한 눈에! - 변표 대학편 0
안녕하십니까. Crux 팀 소속 컨설턴트 황진표입니다. 오늘은 메디컬 군 배치와...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국군간호사관학교, 육사, 해사, 공사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동남보건대, 삼육보건대, 대구보건대, 대전보건대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이번 주인 12월 9일(금)에 수능 성적이 발표되고,...
-
[오르비 강성식]강성식 소장과 함께하는 2023수능실채점 비교표_2023VS2022 4
안녕하세요 오르비 강성식 입시연구소장입니다. 나의 점수로 갈 수 있는 최대한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경인여대, 동양미래대, 인덕대, 배화여대, 신구대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이번 주인 12월 9일(금)에 수능 성적이 발표되고,...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한국항공대, 한국교통대, 서울여자간호대, 경찰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오르비 강성식]강성식 소장과 함께하는 2023정시 교차지원은 어디까지 갈까요? 1
안녕하세요 오르비 탑미네르바 컨설팅 강성식 입시연구소장입니다. 나의 점수로 갈 수...
-
안녕하세요. 학점 아닌 표점입니다. 저번 반영비에 대한 설명에 이어 오늘은 드디어...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서울과기대, 한국기술교육대, 한국공학대(전 한국산업기술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공주교대, 청주교대, 전주교대, 광주교대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이번 주인 12월 9일(금)에 수능 성적이 발표되고,...
-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서울교대, 경인교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이번 주인 12월 9일(금)에 수능 성적이 발표되고,...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성결대, 한신대, 용인대, 강남대, 대진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경기대, 가천대, 수원대, 안양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안녕하세요. 학점 아닌 표점입니다. 예전에 예고한 대로 반영비, 그리고 관련하여...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인천대, 인하대, 아주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한성대, 서경대, 삼육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광운대, 명지대, 상명대, 가톨릭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단국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안녕하세요. 독공팀 안진탁입니다. 근 몇 년간 컨설턴트 일을 해오면서, 저를 포함한...
-
2023 정시지원(1) - 배치표, 모의지원, 입결 - 어디가/고속성장분석기/낙지/메가/모지(MOJI)/텔레그노시스 0
오늘부터 정시지원을 위한 준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시 원서영역을 처음접하는...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동국대, 건국대, 홍익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최근 4개년 문과&이과 주요대학 / 의치한약수(메디컬) 추정 입결표 74
안녕하세요 피오르컨설팅 대표 유인우입니다. 대학별 순서는 입결순이나 서열순이...
-
2023학년도 정시 전형 -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0
안녕하세요. 나무 아카데미입니다. 수능이 어제 끝난 거 같은데 벌써 정시 원서 접수...
-
안녕하세요. 크럭스팀 [Crux]금산조입니다. 어떤 모집단위의 컷을 예상할 때에는...
-
[오르비 강성식] 본예약 안내 및 2023정시 변경사항 0
안녕하세요 오르비 강성식 입시연구소장입니다. 선예약에 대한 많은 성원 감사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에서 메디컬 팀장을 맡고 있는 종냥입니다. 다들 수능은 좋은...
-
22 정시 한,약,수 입결 정리 및 컨설팅 안내 안녕하세요? 오르비...
-
[오르비 강성식] 강성식 소장과 함께하는 2023가채점 분석과 2023정시를 시작하며 3
안녕하세요!!! 탑미네르바 컨설팅 오르비 강성식 입시연구소장 인사드립니다. 1....
-
정시 의예,치의예 입결 정리 및 컨설팅 안내 안녕하세요? 오르비 입시투데이팀입니다....
-
정시컨설팅에 활용하기 위해 주요대학+교대를 제가 보기 편한대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2023 수능 국수영 정답 및 기출문제(링크 및 이미지) 0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성적표는 12월 9일날 나옵니다....
-
2023부터 서울대 정시에서 내신이 정성평가를 통해 반영됩니다. 정시 일반전형은...
-
[무료 LIVE 특강] 2023 면접(고3/N수) & 학생부 관리(고1,2) 4
[무료 LIVE 특강] 2023 면접(고3/N수) & 학생부 관리(고1,2)...
-
반갑습니다! 입시 컨설팅팀 크럭스[CRUX] 소속 컨설턴트 강민수입니다. 어느덧...
-
2022 입시 vs 2023 입시 메디컬 관련 주저리.. 4
앞서 이 글은 메디컬에 국한해서 다룰 예정이며, 전체적인 입시의 흐름과 따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