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1070387] · MS 2021 · 쪽지

2021-10-26 16:45:57
조회수 6,297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게시글 주소: https://wwww.orbi.kr/00040218107

(225.5K) [557]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pdf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이상(理想도덕·윤리 연구소

소장 임재섭




이 문제 자체는 풀기 쉬운 편이나, <보기ㄹ의 정확한 출제 의도를 여러분께 전달해 드리기 위해 이렇게 분석해 봅니다바쁘신 분정약용에 대한 기초 개념이 완성되신 분들은 ㄹ 해설만 보셔도 괜찮습니다.



지문 읽기


사람이 태아로 있을 때 하늘이 그에게 영명(靈明)하며 무형(無形)한 체()를 부여하였다이것은 선을 즐거워하고 악을 미워하며 덕을 좋아하고 욕됨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니 이것을 성()이라 말한다.


·덕을 좋아하고 악·욕됨을 싫어하는 영지(靈知)의 기호를 인간이 본성으로 타고난다는 정약용의 주장입니다.


하늘이 나에게 성을 부여할 때 덕을 좋아하는 감정과 선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주었다.


하늘(상제)이 인간에게 영지의 기호라는 성을 부여할 때덕을 좋아하는 감정인 사단(四端)과 선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인 자주지권(自主之權)을 함께 주었습니다.


이 성은 비록 나에게 주어져 있지만 그 근본은 하늘의 명령[天命]이다.


기호로서의 성이 인간 안에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근원은 인간 바깥에 있는 상제이며인간에게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가 성으로 담겨 있는 것은 선을 추구하고 악을 멀리하라는 상제의 명령입니다.


인간은 사덕(四德)을 실천함으로써 사단을 이룰 수 있다. (×)

인과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인간은 사단을 실천함으로써 사덕을 이룰 수 있습니다사덕의 형성 자체가 사단의 반복적 실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도 하고또 사덕이라는 것이 사단과 별개로 혼자 실천되어 사단을 사후적으로인과적으로 촉발할 수는 없습니다정약용의 입장에서 사덕이란 사단을 아주 잘 내면화한 인격자의 품격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에사덕의 실천은 본질적으로 사단의 실천입니다(당연하지만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사덕을 실천함으로써’ 사단을 이루는 게 아닙니다오히려 사단을 실천함으로써’ 사덕이 형성되고사단을 실천함으로써’ 사덕이 실천되는 것입니다.


인간은 악을 싫어하는 기호(嗜好)의 본성도 지니고 있다. ()

인간은 여타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몸의 욕구를 좇는 형구(形軀)의 기호를 지니고 있습니다하지만 여타 동물들과는 다르게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본성이 있습니다그것이 바로 영지의 기호입니다이것은 지문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선을 즐거워하고 악을 미워하며 덕을 좋아하고 욕됨을 부끄러워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도덕적 선택을 통해 자유 의지[自主之權]를 형성한다. (×)

인간은 자유 의지(자주지권)를 후천적으로 형성할 수 없고지문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하늘로부터 타고납니다선지와 반대로 인간은 자유 의지를 통해 도덕적 선택을 해 나가며 삶을 영위합니다.


인간의 선행은 자신의 공적이 되고악행은 자신의 죄가 된다. ()

사실 우리의 도덕적 직관상 아주 당연한 소리입니다유교적 사고방식으로도 아주 당연한 소리이고요정약용이 유학자라는 점에서 여기까지의 사고만으로 ㄹ이 옳은 선지라고 판단하는 것도 꼭 못 할 풀이는 아닙니다만빈틈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직관과 시대적 흐름에 호소하는 것은 논리적 설명이 될 수 없으니까요.


하늘은 사람에게 자신이 주재하는 저울을 주어서 그가 선을 하고자 하면 선을 하고 악을 저지르고자 하면 악을 하게 하여선악을 하려는 방향이 변하여 고정되지 않게 하였다그 저울질은 자기에게 있으니 본능[定心]만을 가진 금수와 다른 것이다그러므로 선을 하면 실제 나의 공이 되고악을 저지르면 실제 나의 죄가 된다.

- 정약용맹자요의정원재 역 -


하늘이 영지(靈知)를 부여하매 재()도 있고()도 있고()도 있다()라는 것은 그 능력이요그 권형(權衡)이다기린은 착한 것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착한 것이 공이 되지 않고시랑(豺狼)은 악한 것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악한 것이 죄가 되지 않는다사람은 그 재()가 착할 수도 있고 악할 수도 있는데능력은 자력(自力)에 달려 있고 권형(權衡)은 자주(自主)에 달려 있기 때문에 착하면 그를 칭찬하고악하면 그를 꾸짖는다.

- 정약용매씨서평이지형 역 -


정약용의 입장에서선행이 자신의 공적[]이 되고 악행이 자신의 죄()가 되는 것은 인간의 자주지권 때문입니다선이든 악이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상제가 인간에게 하사했기 때문에선을 행하는 것도 악을 행하는 것도 인간에게는 모두 자기 몫이 되고따라서 선행은 공적으로 악행은 죄로 이어지게 됩니다.

한편 기린, 시랑(승냥이와 이리)과 같은 인간 외 동물들에게는 자주지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동물들은 단지 형구의 기호에 따라, ()마다 정해진 경향성에 따라 행동할 수밖에 없습니다. 자신의 의지로 한 행동이 아닌데 그것을 두고 공적이다, 죄이다 왈가왈부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결국 정약용의 입장에서, 선행이 자신의 공적이 되고 악행이 자신의 죄가 되는 것은 인간에게 고유한 현상입니다.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소개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는 최근 수능에 대한 감각과 교과 지식이 충분한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윤리 전공자와 타과 전공자를 아우르고 있어 균형 잡힌 시각에서 모의고사를 제작한다. 수험생분들의 수능 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오류 없는 문제, 쉽지 않은 문제, 깔끔한 문제를 지향한다.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연구원

임재섭 서울대학교 철학과

- 강승철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 김성민 서울대학교 인문계열

- 박세은 서울대학교 철학과

- 박정민 건국대학교 철학과

- 여지선 동국대학교 철학과

- 임재원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 조민준 서울대학교 철학과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약력

2021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Éthique Fatale 모의고사 (생활과 윤리윤리와 사상출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