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시험의 법칙」 2탄- '대립 선지'의 법칙
게시글 주소: https://wwww.orbi.kr/0004647628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 수험서 「국어 시험의 법칙: Rule 7」의 저자입니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개발한 원본 교재의 자료를 칼럼 형태로 일부만을 연재하여 공개합니다.
그 두 번째. [대립 선지]의 법칙!
- 칼럼 전체 목차 -
1-1. [일탈 선지]의 법칙 기본편
2-1. [대립 선지]의 법칙 기본편
3-1. [공통 선지]의 법칙 기본편
4-1. [보기-선지]의 법칙 기본편
5-1. [선(先) 꼬리]의 법칙 기본편
6-1. [선지 오류의] 법칙 기본편
7-1. [발문-선지의] 법칙 기본편
1-2. [일탈 선지]의 법칙 응용편
2-2. [대립 선지]의 법칙 응용편
3-2. [공통 선지]의 법칙 응용편
4-2. [보기-선지]의 법칙 응용편
5-2. [선(先) 꼬리]의 법칙 응용편
6-2. [선지 오류의] 법칙 응용편
7-2. [발문-선지의] 법칙 응용편
1. 자료에 대하여
1) 기존과는 컨셉 자체가 다르다???
기존의 효율적인 문제 풀이 방법론의 자료가 지문을 근거로 했지만 본 자료는 지문 없이 즉, 지문을 읽기 전에 정답의 감(感)을 찾는 방법론에 대한 컨셉이다.
2) 당연히, 최초의 컨셉!!!
문제 풀이에 대한 방법론, 노하우 등 소위 기술서류의 자료는 정식 출간 교재와 카페 칼럼, 학원 강사들의 방법론까지 다 합치면 수 십 가지가 될 것이다. 하지만 국어 시험에서 대분을 차지하는 지문을 고려하지 않은 컨셉은 처음일 것이다. 혹시 과거에 어디선가 얼핏 듣거나 봤을 지라도 이렇게까지 7가지로 이론화 유형화된 것은 분명 처음을 것이다.
3) 이런 자료가 왜 필요한거지???
지문을 근거로 문제를 푸는 것은 당연하고 정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본 자료가 불필요해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험생이 지문 보다 선지를 먼저 읽기 때문에 먼저 읽는 선지를 통해 정답의 감(感)을 잡고 지문을 본다면 그렇지 않는 수험생보다는 유리하게 문제를 풀 수 있다.
4) 선지에서 먼저 정답의 가능성이 예측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유용한 점이 많다.
첫째, 지문에서 정답의 단서를 찾기가 한결 수월해 진다.
둘째, 지문에서 정답의 근거라고 생각하는 것을 찾았을 때, 선지별로 정답의 확신성을 뚜렷히 판단 해 볼 수 있다.
셋째, 지문을 아무리 봐도 두 개의 선지 중에서 고민하는 경우가 생겼을 때, 정답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시험 시간 조절을 실패해 지문을 전부 읽을 수 없을 때, 정답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대립 선지]에 대하여
대립 선지는 선지의 특성이 서로 반대, 모순을 이루는 것이다. 문제를 통해 살펴보자.
선지 ①, ④는 다음과 같이 1 : 1 대립을 이룬다.
① 멋진 춤과~ 원작과 관계없이 만족했어요. (정답)
⇕
④ 기발한~ 원작의 심오한 주제에 걸맞은 연출 방식이구나 하며 감탄했어요.
선지 ①은 ②, ③과 1 : 2 대립을 이룬다.
① 막 씨가 ~ 금방울의 변신을 돕기 위한 행동이다. (정답)
⇕
[② 막 씨가 ~ 금방울의 시련을 형상화한 것이다. = ③ 막 씨가 ~ 금방울을 거듭 버려도~ 드러낸 것이다.]
선지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긍정 / 부정으로 분류해 보면, 선지 ④는 ②,③,④과 1 : 3 대립을 이룬다.
④ 갈등이 심화되는 공간이다. (정답)- 부정
⇕
② 신이한 면모를 보여 준다. - 긍정
③ 사회적 보상을 상징한다. - 긍정
⑤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보여 준다. -긍정
일탈 선지의 법칙을 정의하자만 다음과 같다.
[일탈 선지]의 법칙
1) 선지를 분석한다.
2) 선지 중에서 서로 대립(모순)되는 것을 찾는다.
3) 대립의 형태를 파악한 후 정답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 대립 형태별 1의 비율이 정답이 될 확률:
1:3 대립(약 99%), 1:2 대립(약 90%), 1:1(약 75%)
작년 2014년 수능에도 어김없이 나왔다!!!
선지 ①, ② 둘 다 상대방에게 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제안이기에 서로 동일성을 갖지만 ①은 제안 측의 손실이 발생, ②는 제안 측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결국엔 서로 대립이다.
① 제안하는 측에 손실이 발생하는 대신 ~
⇕
② 제안하는 측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 (정답)
실제 수능은 물론 6월,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중 3 ~ 고 2 성취도 평가, 심지어 국어교사 선발시험까지 다양한 국어 시험에서 대립 선지의 법칙이 적용되는 문제가 매번 평균 2~4개 정도가 출제된다.
그리고 대립 형태별 1의 비율이 정답이 될 확률은 1:3 대립(약 99%) 1:2 대립 (약 90%) 1:1 (약 75%) 이다.
정답의 가능성이 무려 평균 80%이상???
엄연한 공식과 객관적인 규칙이 존재하는 수학과는 달리 고도로 주관적인 국어에서 100% 통용되는 공식이나 규칙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80%만으로도 정말 놀라운 발견이며 이는 시험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국어 시험에서 왜 이런 규칙성이 나오는 거지??
그것은 객관식 국어 시험에 허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허점을 출제자들은 당연히 모른다. 알면 이렇게까지 높은 확률의 규칙성이 존재할 수 없다. 이 허점을 수험생 입장에서 유리하게 이론화 유형화한 것이 바로 본 칼럼 자료이다.
이것을 실제 시험에서 어떻게 써먹지?
실제 시험에서 지난 칼럼 일탈 선지의 법칙과 대립선지의 법칙이 적용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선지를 일일이 분석할 만큼 주어진 시험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 본 칼럼 자료를 깊이 있게 이해했다면 지문 보다 선지를 먼저 볼 때, 일탈 선지에 해당한다면 거의 무의식적으로 자료의 내용이 떠오를 것이다.
엇, 이 내용 나도 한번쯤은 생각해 봤던 것인데...
그렇다. 문제풀이를 많이 해본 수험생이라면 한 번 쯤은 생각해봤을 내용이다. 다만 이 자료는 객관식 국어 시험의 허점을 역이용해 수험생의 무의식적인 문제풀이의 감(感)을 이론화 유형화한 것이다. 그리고 문제 풀이 감이 부족한 무의식적인 문제 풀이의 감의 그 노하우를 단시간에 경험하여 알게 되는 것이다.
최신 수능 2014년의 적용 문제들
그리고
지난 2014년 6월 모의 평가에도 어김없이 대립 선지의 법칙이 적용되는 문제가 다음과 같이 등장했다.
무려 19 문제나 적용!!!
분량상 풀이를 다 올리지 못하므로 한 번 찾아서 풀어보길 바랍니다.
칼럼 요약 정리:
1. 매년 수능에서 2~4문제 정도의 [대립 선지]법칙이 적용된다.
2. 지문도 고려하지 않고 해당 대립 선지가 정답일 확률은 평균 80%이상이다.
3. 이를 활용하면 정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의 문제풀이의 감(感)을 신장시킬 수 있다.
4. 비슷한 실력을 가진 수험생 중에서, 이 법칙을 알고 시험을 보는 수험생은 그렇지 않은 수험생 보다는 높은 경쟁력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5. 국어 문제 풀이의 감(感), 시험의 감(感)이 부족한 수험생에게는 유용한 자료이다.
6. 이미 실력이 있는 수험생은 자신의 감을 정교히 할 수 있는 보조 아이템같은 자료이다.
실제 지문을 선지의 구성과 위 법칙으로 접근하면 훨씬 더 깊이 있는 설명이 될 텐데 분량상 전부 제시하지 못해 아쉽습니다.
★ 오르비 지식거래소 추천 1순위 자료 ★
http://atom.ac/docs/439/
긴 내용은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칼럼은 모두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분량 상 더 많은 정보를 드릴 수 없어 아쉽네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덧글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덧글과 추천은 학교수업에서 EBS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다음 칼럼을 또 준비하는 데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칼럼 BoX
국어 시험의 법칙 1탄: [ 일탈 선지 ]의 법칙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15143
찍기의 과학적인 이유
: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11157
4,800초의 시간 컨트롤: 국어 시간 부족한 이들을 위한..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39966
다른 시험, 같은 지문: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63183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름 나쁘진 않게 한 듯 양손 둘 다 칠 수 있어서 한 손 힘들면 번갈아가며 씀...
-
메가스터디,이투스 역사샘점 ㅊㅊ해주세오ㅠㅜㅜㅜ이다지샘이랑은 안맞는것같아여…
-
차 뽑았다 4
탈래? 캬컄
-
결국 마지막까지 좋아했었다는 고백조차 못 하겠네
-
그리고 수능은 강민철입니다.
-
10월인가 그쯤에 무슨 사교육 단속??이 심해져서 평당 인원 제한으로 수업이 2개로...
-
와 진짜 10년 전이네...... ㅅㅂ
-
응 체육관에서 나만 함 심지어 자율참여운동에 참여or응원 안하고 공부했다고 반애들...
-
역시 쇼메이커 챌린지
-
나를 구렁텅이에 빠뜨린 안 좋은 일이 있음 고1로 돌아간다면 후자를 없애고 싶음
-
ㄹㅇ로 다 잠
-
김연호 생명 0
김연호 생명 라이브 강의 3,4,5주차만 구매했는데 1,2주차도 먼가 들어야할거...
-
수험표 할인 생각하면 무조건 이득보는 구조
-
뜬금없이 궁금한건데 의치한약수 서연고 순이잖아요 로스쿨은 보통 학교간판 많이 보고...
-
몸무게 1kg 찜 13
헐
-
냥카스 2
ㆍ
-
이제야 알겠다. 성공하고 싶었다. 인정받고 싶었다. 그건 잘 먹고 잘 살고 싶다는...
-
수2 시발점 스텝업푸는중인데 풀이에 막히는건 없구요 시발점강의를 안들어서 현우진식...
-
ㅜㅜ
-
구문은 이명학쌤 일리, 신택스 듣고 독해는 션티쌤이 좋은 거 같아서 션티 키스로직...
-
'잠이 많음'이 반드시 포함되어있음
-
우유딱지 고무딱지 공기놀이 수다떨기 공감되죠????
-
고3때 쌤중에 0
개념 문제 풀다가 틀려서 답만 고치고 시험 끝나기 10분 전에 들어와서 문제...
-
택도 없는 점순데 관광수능이라서 막 넣어봄
-
따듯함이 되어주겠다 하는 신념 비슷한거 있었는데 지금은 몰?루
-
격추됐네..
-
삼반수고민 0
예체능 했어서 현역(탐구안함) 언미생1화2 44579 재수 언미쌍지 43434 현역...
-
좆 0
처구니
-
고급지게 생겼엉,,
-
동아의 지역인재 2
607.35면 최초합갹권인가요???
-
ㄹㅇ
-
존나 생기긴함.. 학원알바 n개월 편의점 2달 과외 2주 해봤음
-
모의고사기간같은건가요???
-
비대면오티 0
오티비대면으로하시는분
-
드셔보신분? 어떰?gs에 판다던데
-
화학 난이도 평가좀 14
만들면서 계속 생각하니까 대충 어려운건 알겠는데 척도가 박살남 ㅋ큐ㅠㅠ
-
명문대인데
-
첫날부터도 좀 어이없긴했는데 이거 쓰면 읽긴읽냐
-
쉽지않네... 5
-
이게 사람이 존나 정신머리가 딸리면 이럴 수도 있나 학원 여기다 쓰면 특정될것같은데
-
파란색 아니었나
-
할라믄 가장 신경써야 할 점이 머임ㅔ
-
긍정적분#9999 친추요망.
-
뼈문과인가요??
-
사실 매일 하고 있음
-
제가 한 피구 했었죠 22
잡는거 던지는거 피하는거 다 잘했어요 빨리 ㄱㅁ 달아주세요
-
인강 개념교재 하나 보면서 기출 실모 벅벅하면 다른 커리는 필요 없는 것 같은데
-
하 자야지 0
-
3년만에 입시판에 들어갈려 합니다. / 부제 : 이런 경우에는 군수를 안 하는 게 맞나요? 4
현역 때 수능은 망쳤지만 운 좋게 대학은 잘 간 04년생입니다. 군대를 21살...
-
이 사람이 좀 나가줘야하는디...
대립 선지니까 답 후보 2개나오겠네요? 대립된것들이 2개면
네...1 : 1 대립...답 후보 2개중 답이 있을 확률 약 75%입니다..^^
진짜 ㅋㅋ 이거 잘 다듬어서 한번 텝스 커뮤니티에 올려보세요 ㅋㅋ 추천 수 싹쓸이 가능할거 같아요 ㅋ그냥 객관식 언어 시험의 법칙이에요
뭐가됬든 동의어 vs 반의어 싸움이네요
텝스 커뮤니티를 잘 몰라서요..직접 한 번 올려주세요..^^..그나저나 제 칼럼에 전에도 그렇고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쪽지로 성명/학년/연락처/주소 좀 보내주시겠어요? 원본 교재 보내드릴게요^^
선생님 칼럼 잘읽고 있습니다. 다음 내용이 벌써기대되네요ㅎㅎㅎ
감사합니다...더 좋은 칼럼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오.. 이런게 있네요.. ㅋ.. 저도 문제 풀다가 가끔씩 국어에서 보이던데.. 이걸 정리한 책이 있을줄은 몰랐네요 ㅋ... 영어도 적용될런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건 국어에서 저걸 써먹을 수 있다는거죠.. 그런데.. 수능때 저걸 적용할 만큼 간이 클지는 의문이네요 ㅜㅜ..
물론 위의 내용만을 적용해서 문제를 푸는 사람은 없겠죠? 다만 선지별로 정답의 확실성을 갖고 지문을 대하면 그만큼 지문에서 정답의 단서를 빨리 찾거나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면서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어 시험에서 지문까지 다 꼼꼼히 읽어봐도 두개의 선지 중 고민하는 경우, 시간이 없어서 지문도 다 읽어 보지 못하고 선지에서 답을 골라야 하는 경우도 허다 합니다. 그럴때는 위의 내용들이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문제 풀이에서 보조적인 팁으로 굉장히 유용할 듯합니다.^^
잘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네...잘 읽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본 교재의 마스터 시간을 쪽지로 문의 많이 주셔서
덧글로 대신 합니다.
원본 교재는 약 450페이지 이지만
칼럼 형태로 읽어나가며 연습문제도 지문이 없는
풀이 형태이기 때문에
분량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습니다.
하루 2~3시간 씩 3~4일 이면 충분히 마스터 합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이야기인데...
오르비 접속하면 메인 화면의 중앙이 좌우로 쏠리는 현상 해결 방법 아시는 분 있나요?
다른 인터넷 화면은 이상이 없는데 오르비만 그런데..
저 같은 이 없나요? ㅠㅠ
정말 유용한 팁이네요.
실전적인 팁이란 이런게 아닌가하고 생각해봅니다
네...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ㅋㅋㅋ신기해
그럼 만약에 저 대립구도가 1:4가되면 일종의 일탈선지법칙에해당되는건가요???
음...벌써 눈치 채셨군요ㅎ 맞습니다^^3탄 칼럼인 공통선지의 법칙도 읽어보세요 ㅎ
놀랍다ㄴ에패[ㅣㅓㅏ네이퍼ㅡㅏ네이파
와 대박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당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