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뽑기기계?영상 보다가 갑자기 궁그매진거
게시글 주소: https://wwww.orbi.kr/00066828685
말을 좀 ㅈ병1신같이 해놔서 이해안가는데잇음 설명해드림
진짜 확률쪽으론 머리가 아예안돌아감ㅋ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wwww.orbi.kr/00066828685
말을 좀 ㅈ병1신같이 해놔서 이해안가는데잇음 설명해드림
진짜 확률쪽으론 머리가 아예안돌아감ㅋ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조건부? 앞에 a를 많이 뽑앗다면 힘들어지지않을가요
아
약간 그럼
앞사람들이 a를 몇번만에 뽑는지에 따라 달라지는확률ㄹ??인가요
A가 이십개밖에 없어서 그럴가같에여
아앙
그럼 전체 제비수는 무한대로 가고 제비종류마다 비율은 같다 하면 어케돼요?
그럼 완전 상관없죠
오그런가요
감사합니당
복원 추출과 비복원 추출의 차이에 대해 찾아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실거여요
간단하게 찾아보구 왔는데 제가 말한 예시가 비복원추출이란건알겟는데요..
그 앞사람들이 뽑기를 멈추는 조건이 있는 상황에 대한건 어떤워딩으로 찾아보면좋을까욤ㅎㅅㅎ
동시에 뽑는게 아니라면 차이가 있음
그래서 몬티홀의 딜레마도 나오게 되는 거
아 오 찾아보겟슴
아아아 이거
뒷사람에게 확률적 차이가 있긴 한데, 무시 가능할 정도로 작아요.
이 상황에서는 여러 사람들이 다 a가 나올 때까지 뽑는 행동을 한다는 것 때문에 햇갈릴 수 있어요.
하지만 기계는 누가 뽑고 있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사실 10명의 사람이 각각 a가 나올 때까지 뽑는 상황은 한 사람이 아주 오랫동안 뽑기를 하며 a가 10개 나올 때 종료하는 상황과 같아요.
그럼 뒷사람이 a를 뽑을 확률은 10/(남은 제비수)가 되는데, a를 10개 뽑는 데 드는 평균 뽑기 횟수는 50보다는 작겠지만 그래도 50 근처일 거고, 남은 제비수는 평균적으로 100에서 이 값을 뺀 값이 되요.
대충 프로그램 돌려서 계산해보니까 a가 20개 중 10개 빠진 상황을 기준으로 남아있는 제비수는 51~52개 정도로 나오네요
뽑을 확률은 비율로 한 0.5~1.5% 차이고, 현실적으로 a가 20개가 아니라 100개정도 있는 상황이나 10개보다 덜 빠진 상황을 고려하면 거의 차이가 없다고 봐도 되요
와우웅...프로구램까지 정성 감사합니다
이해바로됐어요!!